이전에 우리나라에서 발행한 코인,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코인의 총명칭인 김치코인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 적이 있는데요. 오늘은 중국과 관련된 코인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중국에서 발행되고 중국에서 인기가 많은 코인은 어떠한 들이 있을까요?
시아코인
시아코인은 하드드라이브를 공유할 수 잇는 분산형 클라우드 저장시스템인 시아네트워크에서 실행이 되는 코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시아코인은 당사자끼리에만 발생하는 고객정보를 해시로 변환을 시켜서 블록체인에 저장을 하고 현재 한국의 업비트 등 다양한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이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분산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이러한 암호화폐는 유토큰, 골렘 등이 있습니다.
이오스코인
이오스코인은 현재 중국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오스 코인은 2017년 만들어진 코인으로써 처리속도가 너무 느리고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비싼 이더리움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등장한 코인인데요. 이는 중앙 시스템으로부터 통제받지 않고 개개인이 오로시 자신의 정보를 통제를 하는 그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수평, 수직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디자인이 된 블록체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트토렌트
비트토렌트는 영화, 음악, 문서 등의 데이터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 개인과 개인이 직접 연계되어서 파일을 주고받는 형태를 말합니다. 현재 20억명 이상의 유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2018년에 트론에서 인수를 했는데요. 비트토렌트의 인프라와 트론의 블록체인 기술을 합쳐서 세계 최고의 peer 2 peer를 만들기 위한 정책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네오코인
네오코인은 중국의 이더리움이라고 불리는 코인으로 네오는 중국에서 가장 먼저 만들어진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자사의 독립적인 스마트 기술인 네오컨트렉트를 기반으로 이더리움과 같이 VM위에서 실행이 되게 됩니다. 전통 자산 및 디지털을 쉽게 전송하고 전송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암호화폐 또는 플랫폼의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 중국에서 코인 규제 뉴스가 나오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중국은 이러한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를 규제하기는 사실상 쉽지 않다고 봅니다. 세계 1위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가 벌어들이는 돈이 어마어마한데 이를 규제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중국 정부의 코인 규제는 비트코인 전체의 시장에 하락세를 가지고 원인의 하나라고도 할 수 있을 정도로 중국의 코인 시장이 어마어마한 규모라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비트코인의 하락세는 전반적인 코인 시장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으니 다른 코인들의 상황도 그리 좋지가 않겠지요.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당분간의 하락세를 지속될 예상으로 추측이 됩니다.
'코인채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표적인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는? (0) | 2021.06.06 |
---|---|
쿠코인 거래소 성장과 앞으로의 전망 (0) | 2021.06.06 |
리플코인이란, 리플코인의 전망 (0) | 2021.06.05 |
파이코인 전망 및 시세, 채굴방법 (0) | 2021.06.05 |
김치코인 종류와 전망은? (0) | 2021.06.05 |
댓글